가족 중 한 분이 치매에 걸리셨을 때, 보호자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 글에서 치매 진단부터 요양 서비스 선택까지 단계별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치매 초기 증상 인지 및 대응
2. 치매 진단 절차
3. 장기요양등급 신청 및 절차
4. 요양 서비스 선택
- 방문요양
- 주・야간보호
- 단기보호
- 방문목욕
- 재가노인지원
- 방문간호
- 요양원
5. 재가노인 이용비용 지원
6. 가정 내 치매 환자 돌봄 팁
[ 1. 치매 초기증상 인지 및 대응방법 ]
치매는 뇌세포가 손상되어 기억력・판단력・행동이 떨어지는 병으로,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에 대응해야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기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기억력 저하, 판단력 감소, 성격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 기관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치매 초기증상
기억력 장애가 심해지며 판단력이 흐려지고, 최근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익숙하게 하던 일 처리가 어려워집니다
- 기억력 저하 : 최근에 있던 일을 자주 잊어버리고 같은 질문을 반복
- 인지기능 저하 : 길을 잃거나 날짜와 시간을 자주 혼동
- 의사결정 장애 : 익숙한 일을 제대로 처리하기 힘들어지고, 판단력이 흐려짐
- 성격 및 감정변화 : 우울증, 예민함, 불안 등 감정변화
◼︎ 초기 대응방법
치매가 의심되면 정확한 검사를 받고 조기 진료를 받으며 우울증 등 동반 질환도 함께 치료합니다
[ 2. 치매 진단 절차 ]
◼︎ 치매안심센터 방문
가까운 보건소 내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여 K-CITS 치매 선별검사를 받습니다
검사 결과 점수가 낮을 경우, 병원에서 추가 감별검사를 받습니다
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센터 안내, 치매안심센터 사업 안내, 치매전문교육, 안심지원서비스, 커뮤니티, 알림마당 등 안내
ansim.nid.or.kr
- 대상자 : 만 60세 이상 모든 노인
- 비용 : 소득 및 연령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검사 비용 일부 지원
◼︎ 추가검사
진단검사 결과에 따라 지정 병원에서 혈액검사, 뇌 CT 촬영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습니다
[ 3. 장기요양등급 신청 및 절차 ]
치매 진단을 받았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공단 직원이 가정을 방문하여 어르신의 상태를 평가하며,
이때 치매 진단서와 일상생활 모습을 기록한 자료를 제출하면 도움이 됩니다
◼︎ 신청대상
- 65세 이상 또는 65세 미만 자로, 치매・뇌혈관성질환 등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
- 치매(F00~F03), 뇌혈관질환(I60~I69), 파킨슨병(G20~G23)
◼︎ 신청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우편, 팩스, 인터넷, The건강보험 어플
[ 4. 요양 서비스 선택 ]
치매로 인해 일상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에게 가사활동, 신체활동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장기요양보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으니,어르신의 상태와 가족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요양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방문요양 서비스
치매 초기에 적합한 서비스로, 요양보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어르신의 일상생활을 도와줍니다
비용은 등급과 이용 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 주・야간보호 서비스
집에서 가족의 보호를 받기 어려운 어르신을 주간・야간 동안 보호시설에 입소시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각종 편의를 제공합니다
보호자가 부재중이거나 어르신의 사회적 활동이 필요할 때 적합하며, 월 약 50만 원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단기보호 서비스
부득이한 사유로 가족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어르신을 보호시설에 단기간 입소시켜 보호하는 서비스입니다
◼︎ 방문목욕 서비스
치매 노인을 방문하여 목욕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재가 노인지원 서비스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이유로 일상유지가 곤란한 취약 노인에게 상담, 일상생활지원 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방문간호 서비스
간호사 등이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시서에 따라 재가노인 가정을 방문하여 간호, 진료 보조, 요양 상담, 구강위생 등을 제공합니다
◼︎ 요양원
치매 중기 이상으로 24시간 관리가 필요한 경우 요양원 입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2인실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월 비용은 대략 70만 원 정도이며 의료비와 약값은 별도입니다
[ 5. 재가노인복지시설 이용비용 지원 ]
장기요양급여비용 중 15%를 수급자 본인이 부담해야 하고, 장기요양 등급 및 종류 등에 따라 본인부담 수준이 달라집니다
[ 6. 가정 내 치매환자 돌봄 팁 ]
치매 초기환자의 경우 자신의 상태를 부정하거나 우울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의 이해가 많이 필요합니다
가정에서 치매 환자를 돌볼 때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세요
◼︎ 안전한 환경 조성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집안 환경을 정리하고 안전장치를 설치합니다
◼︎ 일상생활 지원
식사, 위생관리 등을 도와주며, 가능한 한 어르신의 자립성을 존중합니다
◼︎ 정서적 지원
어르신과의 대화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사회적 활동 참여를 격려합니다
치매는 가족 모두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한 질환입니다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으니, 부모님이 치매 초기증상을 보인다면 신속하게 검진을 받고
정부 지원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가족들의 꾸준한 관심이 중요하니, 적절한 정보와 서비스를 활용하여 어르신과 가족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길 바랍니다
'정보 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최신 지방세 납부일정 및 절세 팁(납부기한, 납부방법) (1) | 2025.03.06 |
---|---|
쿠팡 동탄센터 셔틀버스 '주간조' 탑승장(수원시청,수원역,수원종합운동장,수원호매실,시흥/정왕,신림) (0) | 2025.03.05 |
쿠팡 동탄센터 셔틀버스 '주간조' 탑승장(사당,산본/군포,석계/상봉,성남/분당,세마/오산,송탄/오산역) (3) | 2025.03.04 |
쿠팡 동탄센터 셔틀버스 '주간조' 탑승장(동수원,동탄1지구,동탄2지구,병점,복정/모란,북수원) (1) | 2025.03.04 |
쿠팡 동탄센터 셔틀버스 '주간조' 탑승장(건대입구,과천,구로,군자/천호,남오산,노원) (0)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