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나눔

2023 청년도약계좌 총정리(가입기간, 신청조건)

by 쪼꼬라떼 2023. 3. 19.
반응형

올해 6월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70만원 이내로 저축하면 약 5,000만원의 자금을 모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300만명 이상의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하니, 시중적금보다 좋은 조건으로 자금을 모을 수 있는 기회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청년도약계좌? ]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이 있어 시중 적금보다 목돈 모으는데 유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매월 70만원 이내로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는 상품으로, 5년 만기 후 5,000만원 정도의 목돈 마련 가능합니다

- 가입 후 5년 만기로, 첫 3년은 고정금리, 나머지 2년은 기준금리를 반영한 변동금리를 적용합니다

 

 


[ 신청기간 ]

- 2023년 6월부터 선정된 취급기관에서 가입신청

- 6월부터 12월까지 매월 2주동안 가입 신청을 받고, 2~3주 내에 심사 후 결과통보 계획

 

 체크사항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가입 불가능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청년형 소득공제장기펀드, 지자체지원상품 등은 중복가입 가능

 


[ 신청조건 ]

- 만19세~36세 청년

  (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은 연령계산에 반영되지 않음)

 

- 가구소득기준 중위 180% 이하

 

- 소득조건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총급여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 비과세적용

  총급여 6,000만원~7,500만원 비과세만 적용

 

*비과세 : 국세청 등이 세금을 부과하는 과세권이 처음부터 없는 것으로, 세금자체가 발생하지 않아서 신고의무 없음

 


[ 중위소득 ]

- 총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하여 차례를 정할때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

 

 2023 기준 중위소득 

1인가구 2,077,892 2인가구 3,456,155
3인가구 4,434,816 4인가구 5,400,964
5인가구 6,330,688 6인가구 7,227,981

 


[ 만기수령액 ]

본인납입금 + 정부기여금 + 경과이자

-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기여금 지급 한도와 우대금리 등 혜택이 많다

- 총급여 기준 4,800이하 -> 월 40~60 납입 한도 조정

 

 

 지급예시 

- 5년간 70만원씩 적금시 원금 : 70만원 x 60개월 = 4,200만원

- 정부가 주는 기여금(21,000기준) : 21,000 x 60개월 = 126만원

- 연 이자 6% 기준 : 640만 5천원

4,200만원 + 126만원 + 640만 5천원 = 49,665,000원

 


기존의 청년희망적금보다 기간은 5년, 금액은 최대 70만원으로 늘어난 청년도약계좌는 5년동안 약 5천만원의 자금을 모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니 확인해보시고 조건이 맞으시면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