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재배
커피는 평균 기온과 강수량이 알맞은 산의 경사진 비탈이나 선선한 고원지대에서 재배된다.
커피 재배에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잘 맞아야 하고 손이 많이 간다.
커피가 자라는데 필요한 것들로는 기온, 일조량, 우기와 건기, 강수량, 토양, 표고 등이 있다.
커피벨트(Coffee Belt), 커피존(Coffee Zone)
아라비카종 커피 재배의 최적지는 남북회귀선(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23도 27분)에 둘러싸인 열대 고원부로
열대, 아열대 지역에 속하는 나라에서 주로 생산되며 벨트 모양처럼 위치하고 있다고 하여 이를 커피 벨트 또는 커피존이라고 한다.
기후
: 아라비카 종은 까다로운 생육 조건을 가지고 있다.
연간 평균 기온이 15~25도 정도로 기온이 5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30도를 넘으면 안 된다.
습도가 적으면서 서리가 내리지 않는 지역이야 한다.
지나치게 강한 햇빛과 열에 약해 이를 가려주기 위한 용도로 다른 나무를 같이 심기도 한다.
기온
: 커피는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연평균 기온 22도 정도의 고지대가 좋다.
아라비카종의 자생지인 에티오피아의 고원은 연평균 기온이 20~24도 정도로 그늘이 많다.
적정 온도보다 올라가면 열매가 빨리 익고 수확량이 많지만 나무가 빨리 늙고 병에 걸리기 쉽다.
적정 온도보다 낮으면 나무가 늦게 자라고 몸집이 왜소해지며 수확량이 적어진다.
일조량
: 햇빛을 많이 받으면 잎의 온도가 올라가며 광합성이 저하되므로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동쪽의 산기슭 비탈에서 재배한다.
그 외의 장소에서는 커피나무를 가려주는 셰이드 트리로 커피나무보다 키가 큰 나무를 심어주기도 한다.
코스타리카나 브라질의 일부 지역은 오후에는 구름이 많아 자연적으로 햇빛이 가려지기 때문에 셰이드 트리가 필요 없다.
우기와 건기
: 열대지방에는 우기와 건기가 있다.
많은 커피 생산지에서 건기가 끝날 때 내리는 비가 커피나무를 자극하여 일제히 꽃이 피고 7개월 후에는 열매가 열린다.
보통 연 1회 수확하지만 케냐나 콜롬비아의 경우에는 우기와 건기가 연중 두 번 있어서 연 2회 수확한다.
강수량
: 연간 1,200~1,600mm의 강수량이 필요하며 특히 종자가 자라는 시기에 강수량이 부족하게 되면 수확량에 문제가 생긴다.
아프리카의 경우에는 잦은 기상 변화로 비 오는 시기가 불규칙하여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다.
지형과 고도
: 해발 600~2,500m 평지나 약간 경사진 언덕으로 표토 층이 깊고 물 보유 능력이 좋은 지역이 적합하다.
고지대에서 생산된 커피는 단단하고 밀도가 높으며 향과 플레이버(Flavor)가 더 풍부하고 맛이 좋으며 더 진한 청록색의 빛을 띤다.
커피 재배에 적합한 기온의 생산지는 중미, 콜롬비아, 동아프리카 등지의 표고 1,000~2,000m 고지대이다.
그런데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므로 저지대에서도 커피가 재배된다.
중미에서는 표고가 품질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표고가 높을수록 고품질로 평가받는다.
토양
: 커피 경작에 적합한 토양은 통기성이 좋고 유기질이 풍부한 토양으로 용암, 응회암, 화산재 등이 최적으로 많은 커피 산지들이 화산과 관계가 있다.
용암과 화산재가 풍화된 토양은 부식이 잘되며 배수성과 경작성이 좋다.
부식질 함량이 높은 토양은 질소나 인을 함유하고 수분과 양분을 머금어 토양 침식이나 풍식을 방지한다.
표토층이 깊고 투과성이 좋으며 약산성(pH 4.5~6.0) 토양이 좋다.
산성 토양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 부족하고 알칼리성 토양은 철과 망간이 부족하다.
뿌리가 쉽게 뻗을 수 있는 다공질의 토양은 배수능력도 좋아 커피 경작에 적합하다.
배수가 좋은 경사면과 수확기는 맑은 날의 건기, 열매가 맺힐 때는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의 계절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지대이다.
번식
: 발아 - 커피는 일반적으로 파치먼트 상태로 심게 되는데 씨앗을 묘판에 심거나 흙이나 퇴비와 비료를 혼합하여 폴리백에 채워 심는다.
: 모판 - 커피를 심어 묘목을 키우는 곳을 모판이라고 하는데 물 공급이 용이하고 해충의 피해가 없는 곳에 나무기둥을 세우고 그 위를 그물망이나 야자수 잎 등으로 지붕을 만들어 반그늘을 만들어준다.
이식
: 우기가 시작되기 전에 이식을 해준다.
커피나무는 심은지 2년 정도 지나면 1.5~2m 정도까지 성장하며 첫 번째 꽃을 피우게 되는데 3년 정도가 지나면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커피나무의 경제적인 수령은 약 30년 정도이다.
'커피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이론 08 (커피의 정제, 건조 방법) (0) | 2022.08.31 |
---|---|
커피 이론 07 (커피의 수확, 가공, 정제) (0) | 2022.08.31 |
커피 이론 05 (아라비카종의 종류와 특징 ) (0) | 2022.08.30 |
커피 이론 04 (커피나무, 열매, 품종) (0) | 2022.08.29 |
커피 이론 03 (커피의 어원과 전파, 생산국별 생두 특징) (0) | 2022.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