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 공부10

커피 이론 06 (커피재배 : 커피벨트와 커피존) 커피 재배 커피는 평균 기온과 강수량이 알맞은 산의 경사진 비탈이나 선선한 고원지대에서 재배된다. 커피 재배에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잘 맞아야 하고 손이 많이 간다. 커피가 자라는데 필요한 것들로는 기온, 일조량, 우기와 건기, 강수량, 토양, 표고 등이 있다. 커피벨트(Coffee Belt), 커피존(Coffee Zone) 아라비카종 커피 재배의 최적지는 남북회귀선(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23도 27분)에 둘러싸인 열대 고원부로 열대, 아열대 지역에 속하는 나라에서 주로 생산되며 벨트 모양처럼 위치하고 있다고 하여 이를 커피 벨트 또는 커피존이라고 한다. 기후 : 아라비카 종은 까다로운 생육 조건을 가지고 있다. 연간 평균 기온이 15~25도 정도로 기온이 5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30도를 넘으면 안 된다.. 2022. 8. 30.
커피 이론 05 (아라비카종의 종류와 특징 ) 아라비카종의 종류 (재래종 / 돌연변이종 / 왜소종/ 자연 교배종 / 인공 교배종 / 선발종) 재래종 (에티오피아원종 / 예멘종 / 게이샤종 / 티피카종) 에티오피아 원종 : 자생하는 3,000종 이상의 품종 중에서 몇 가지를 골라서 재배한다. 나무의 형태, 잎 모양 등 겉모습부터 너무 다양해서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르가체페 지역의 콩은 향긋한 과일 향미가 강해서 최고급품에 속한다. 시다모, 하라, 시마, 리무, 테피, 카파 등 산지에 따라 콩의 크기도 다양하고 향미도 다르다. 예멘종 : 에티오피아에서 들어왔지만 오래전 예멘에서 자라던 품종을 예멘 고유 품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과일, 향신료, 허브등 복잡하고 다양한 향미가 있다. 게이샤종 : 에티오피아의 게이샤 마을 근처에서 발견된 나무가 게이샤.. 2022. 8. 30.
커피 이론 04 (커피나무, 열매, 품종) 커피나무 / 커피 열매 / 커피 품종 커피나무 다년생 쌍떡잎식물로 열대성 상록교목이다. 10m 정도 자라지만 용이한 수확을 위해 나무의 키를 2~3m로 유지해준다. 커피 열매 커피는 생두(그린빈), 원두(로스티드빈)으로 나뉜다. 커피 열매는 녹색에서 익으면서 빨갛게 되는데 이를 체리(Cherry) 또는 커피체리(Coffee cherry)라고 부르며 열매의 길이는 15~18mm 정도이다. 체리가 완전히 익으면 자줏빛을 띠고 더 익으면 검어지는데 품종에 따라서는 옐로우 부르봉종처럼 노랗게 익는 품종도 있다. 커피의 구조를 살펴보면, 커피 열매 속에는 '커피콩'이라고 부르는 종자(씨) 부분이 있다. 보통 두 개의 반원형 종자가 마주 보는 형태이고 그 주변을 은피(silver skin)라는 얇은 막과 내과피(p.. 2022. 8. 29.
커피 이론 03 (커피의 어원과 전파, 생산국별 생두 특징) 커피의 어원 / 커피의 전파 / 주요 커피 생산국과 생두의 특징 커피의 어원 원래 아라비아에서 커피를 끓여 만든 음료수를 '카후와(qahveh,현재 에티오피아인은 '카(콰)우와'라고 발음한다.)'라고 불렀는데, 터키에 들어와서는 '카붸(Kahveh)' 나 '카부아(Khveh)' 라고 불리게 되었다. 16세기경부터 유럽 사람들에 의해서 그 발음이 유럽풍으로 옮겨져 프랑스에 들어간 명칭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서 통하는 말이 됐다. 현재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커피'의 어원은 '카(콰) 후와'이며 이것이 각국에 퍼져 불리고 있다. '반'이나 '반캄'이 보급되지 않고 '카(콰)후와'가 널리 퍼지게 된 것에 대한 첫 번째 설은 아라비아에 '카(콰)후와'라고 하는 일종의 술이 있었는데 커피의 사람을 흥분시키고 심.. 2022. 8. 29.